목차
금거래 양성화를 위해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해 주고 있어,
가장 안전하고 유리한 금 투자 방법이라고 생각한다.
장점 | 단점 |
① 양도 소득세 비과세 ② 배당 · 이자 소득세 비과세 ③ 금융 소득 종합과세 비대상 ④ 장내 거래 시 부가가치세 면제 ⑤ 거래 수수료는 증권사 수수료율 최저 수준 ⑥ 관세 면제로 가격 인하 효과 ⑦ 1g 단위 거래로 소액 투자 가능 ⑧ 매수한 금은 한국예탁결제원에서 보관 |
① 실물 금 인출 시 부가가치세 10% 부과 ② 한국예탁결제원 및 해당 금융투자 회사에 소정의 수수료가 부과된다. |
● KRX 금 투자 거래 방식●
주식처럼 증권사를 통해 계좌개설 후 투자자가 직접 거래하는 방식이다.
금 현물을 실시간 시장가로 거래해 다른 금 투자 방식에 비해 가격이 가장 좋다
금통장 만들고( 비대면 개설 가능) 원화를 입금하면 국제 금 시세에 맞게 계좌에 적립해 주는 상품이다.
만약 금을 현물로 찾을 경우 10%의 부가가치세가 발생하므로 현물로 찾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.
장점 | 단점 |
① 0.01g 단위 소액 투자 가능 ② 금통장 개설이 쉽기 때문에 원하는 시점에 매입 가능 |
① 현물금 찾을 시 10% 부가가치세 발생 ② 거래 수수료 1% 이상 발생 ③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 소득세 15.4%발생 |
금을 실물로 금은방, 증권사, 우체국 등에서 구입해 집에 보관하는 투자 방법이다.
장점 | 단점 |
① 가장 쉽게 선택할 수 있다 ② 증여세와 재산세가 부과되지 않는다. |
① 분실의 위험이 높다. ② 구매 시 부가가치세 10% & 수수료 5% 및 그 외 세공비 발생 =>최소 20% 이상 올라야 이익이다 |
증권사가 금을 기초 자산으로 상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것이다.
금 펀드 상품 선택 시 현물 상품인지 선물 상품인지 확인해야 한다.
왜냐하면 선물을 기초자산으로 금 펀드 상품을 만들었다면 큰 변동성과
롤오버 비용이 발생해 수익 내기가 어렵다.
●금 펀드 수수료와 세금●
① 선취 운용수수료 1~1.5% 정도가 있고, 실물금 인출은 불가능하다.
② 매매 차익에 대한 15.4% 세금이 부과된다.
③ 거래 단위는 상품별로 다르다.